본문 바로가기
돈이 따르는 정보

장병내일준비적금 Q&A

by 행복해져라~ 2023. 6. 16.
반응형

장병내일준비적금Q&A

 

■ 장병내일준비적금 Q&A

1. 내가 가입한 '장병내일준비적금'의 은행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?

- 군 인트라넷(국방망)'국방통합급여포털'을 통해 확인하거나, 소속부대 제정부 급여담당관에게 문의

 

2. 나의 '장병내일준비적금' 가입금액을 변경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되나요?

- 최초 가입 당시 보인이 최대 납입한도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,  본인이 가입한 해당 은행으로 방문하여 변경하면면 됩니다. 다만 최초 납입 한도를 20만 원으로 설정하였다면 별도 방문 없이 20만 원 한도 내에서 납입이 가능합니다.

 

3. ' 장병내일준비적금 '의 납입방법 중 '급여 중앙공제'는 무엇인가요?

- 군 급여를 지급하는 국군제정관리단에서 개인 급여 입금 시 ' 장병내일준비적금 '의 월 납입액을 가입은행으로 먼저 공제(원천에서 차감) 한 후 차액을 개인에게 입금하는 방식입니다.

ex) 월 급여 610,200원 ㅡ 월 적금액 200,000원 = 실제 급여입금 410,200원

 

4. '장병내일준비적금'의 납입방법 중 '자동이체'시 주의할 점이 있나요?

- 자동이체일에 지정계좌의 잔고가 월납입금액보다 부족할 경우, 이체(납입)가 안될 수 있으며, 자동이체 시 타행수수료가 차감될 수 있습니다.

 

5. 가입 첫날부터 납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- 급여 중앙공제, 자동이체 모두 다음 달부터 공제(납입)되므로 가입 첫날의 납입액은 반드시 개인의 '장병내일준비적금'은 은행계좌로 직접 납입해야 합니다.

 

6. 전역 해당월에는 납입방법이 어떻게 뇌나요?

 - 급여 중앙공제인 경우, 첫 달과 마찬가지로 전역 월에도 은행계좌로 직접 납입해야 합니다.

 - 다동이체는 경우에도 전역 이후에는 납입이 안되니 전역 전에 은행계좌로 직접 납입하는 게 좋습니다.

 

7. 부모님을 통해 '장병내일준비적금'을 대리 가입하려고 합니다. 부모님께서 준비해야 할 서류는 무엇인가요?

 - 필수준비물 1) 대리방문 부모님 신분증 / 2)'장벼내일준비적금'가입자격확인서 원본 1부 / 3) 가족관계증명서(주민등록번호 13자리 포함) 원본 1부

 - 선택준비물 : 가입자 본인(의무복무자)의 도장

 - 필수준비물은 은행별로 공통이며, 선택준비물은 은행별로 다를 수 있으니. 사전 확인 후 방문.

 

8. '장병내일준비적금 매칭지원금'은 별도로 신청해야 하나요?

 -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됩니다.

 - 지급에 필요한 서류 (전역증, 병적증명서 등)가 은행에서 확인되면, 만기해지 시 22년 1월 납입분부터는 원리금의 33%, 23년 1월 납입분부터는 71%에 해당되는 지원금이 개인계좌로 입금됩니다.

 

9. 전체 복무기간 동안 '장병내일준비적금'을 모두 납부하지 않았는데, '매칭지원금' 지원이 되나요?

 - 22년 1월 납입분부터 연도별 매칭비율 22년 33%, 23년 71%에 해당하는 금액이 개인 계좌로 입금됩니다.

 

10. 전역 후 만기해지 시 바로 '매칭지원금'을 지원받을 수 있나요?

 - 매칭지원금은 국군제정관리단에서 분기단위로 정산하여 지원하기 때문에 만기해지 후  최대 3~4개월 (만기해지일 다음 분기 첫 번째 달 25일) 안에 지원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■ 더 자세한 문의전화

 - 국군재정관리단 02-3146-6123, 6125 (현역병, 상근예비역, 전환복무자, 대체복무요원 전용)

 - 병무청 042-481-3043 (사회복무요원 전용)

 

 

[돈이 따르는 정보] -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납입 해지 방법

 

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납입 해지 방법

■ 장병내일준비적금 가입 납입 해지 방법 대한민국의 국방은 우리나라의 안전과 국가 안보를 담당하며, 그 중심에 있는 장병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기본적인 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경우가 많

90ing.tistory.com

 

 

반응형

댓글